티스토리 뷰
오페라 '나비부인’은 자코모 푸치니가 작곡한 3막의 비극 오페라입니다.
이 작품은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유행하던 자포니즘을 반영하여
일본의 나가사키를 배경으로 합니다.
1. 오페라 '나비 부인' 배경
✅ 1904년, 일본이 서양과 교류를 시작한 시기입니다. 미국 해군 장교 핀커턴은 일본에 잠시 주둔하면서 현지처로 초초상이라는 15살의 게이샤와 결혼하게 됩니다. 하지만 핀커턴은 그녀를 진심으로 사랑하지 않고, 미국에 돌아가면 다른 여자와 결혼할 생각입니다. 초초상은 핀커턴을 위해 기독교로 개종하고, 그와의 결혼을 진심으로 받아들입니다.
2. 등장인물 및 관계
✅ 등장인물
초초상 (나비 부인), 핀커턴, 스즈키 (초초상의 하녀), 샤플레스 (미국 영사), 고로 (중매쟁이), 본조 (초초상의 삼촌), 야마도리 (초초상의 전 약혼자), 케이트 (핀커턴의 미국인 아내), 돌로레 (초초상과 핀커턴의 아들) 등이 주요 인물들입니다.
✅ 관계구도
- 초초상과 핀커턴은 결혼을 하지만, 핀커턴은 그녀를 버리고 미국으로 돌아갑니다. 초초상은 핀커턴이 돌아오기를 3년 동안 기다리며, 그의 아들을 키웁니다. 핀커턴은 케이트와 결혼하고, 일본으로 돌아와서 아들을 데려가려고 합니다. 초초상은 핀커턴이 자신을 버린 것을 알고, 아들을 주고 자결합니다.
3. 줄거리
✅ 오페라는 3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막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1막
★ 핀커턴은 고로의 도움으로 초초상과 결혼합니다. 초초상은 핀커턴을 위해 기독교로 개종하고, 그와의 결혼을 진심으로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본조 삼촌은 그녀의 개종을 비난하고, 결혼식을 방해합니다. 핀커턴과 초초상은 사랑의 이중창을 부르고, 첫날밤을 보냅니다.
- 제2막
★ 3년 후, 초초상은 핀커턴이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스즈키는 그녀를 달래려고 하지만, 초초상은 그의 돌아옴을 믿습니다. 샤플레스가 핀커턴의 편지를 가지고 와서, 그가 새로운 아내와 함께 돌아온다고 말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초초상은 그의 말을 듣지 않고, 자신이 핀커턴의 아들을 낳았다고 말합니다. 샤플레스는 그녀에게 동정을 표하고, 아이를 다른 사람에게 맡기라고 조언합니다. 고로는 야마도리와 재혼하라고 제안하지만, 초초상은 거절합니다. 그때, 항구에 핀커턴의 배가 도착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초초상은 꽃으로 집을 장식하고, 핀커턴이 돌아오기를 밤새 기다립니다.
- 제3막
★ 아침이 되어, 스즈키와 돌로레는 잠듭니다. 하지만 초초상은 잠들지 않고, 핀커턴을 기다립니다. 샤플레스와 핀커턴, 그리고 케이트가 집에 도착합니다. 핀커턴은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스즈키와 샤플레스에게 초초상과 대화하라고 부탁하고, 자리를 뜹니다. 케이트는 초초상에게 동정을 표하고, 아이를 키우겠다고 말합니다. 초초상은 핀커턴이 자신을 버린 것을 알고, 절망합니다. 그녀는 아이를 주기로 하고, 핀커턴에게 마지막으로 만나고 싶다고 말합니다. 그녀는 아이를 방에서 내보내고, 아버지의 유물인 단도로 자결합니다. 핀커턴은 초초상의 부름을 듣고, 방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이미 늦었습니다. 그는 그녀의 시체를 발견하고, 비통하게 울며 끝맺음을 합니다.
4. 아리아
✅ 오페라 '나비 부인'은 일본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입니다. 작곡가 자코모 푸치니의 아름다운 음악과 감동적인 스토리는 관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나비 부인'에는 여러 유명 아리아가 등장하는데, 그 중 몇 가지를 소개하고, 각 아리아의 특징과 극에서의 역할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어느 개인 날" (Un bel dì vedremo) 특징: 밝고 희망찬 분위기를 가진 아리아 극에서의 역할: 초콜라투스와 꽃을 따며 나비 부인이 핀커튼의 귀환을 기다리며 부르는 아리아
2. "꽃의 이중창" (Scuoti quella fronda di ciliegio) 특징: 나비 부인과 하녀 스즈키가 함께 부르는 아리아 극에서의 역할: 나비 부인이 핀커튼의 귀환을 믿으며 꽃을 따는 장면에서 부르는 아리아
3. "나를 보세요" (Veilì, mi chiamano) 특징: 나비 부인의 슬픔과 절망을 표현하는 아리아 극에서의 역할: 핀커튼에게 버림받은 나비 부인이 자신의 아들을 보여주며 그를 감동시키려는 아리아
4. "더 이상 저를 부르지 마세요" (Non chiamatemi più Butterfly) 특징: 나비 부인의 죽음을 앞둔 마지막 아리아 극에서의 역할: 핀커튼과의 재회를 꿈꾸다가 현실을 깨닫고 자살을 결심하는 나비 부인이 부르는 아리아
5. "허밍 코러스" (Humming Chorus) 특징: 오페라 '나비 부인'의 가장 유명한 코러스 극에서의 역할: 2막에서 미국 군함이 나가사키 항구에 들어오는 장면에서 연주되는 코러스
6. "네가 나를 사랑했을 때" (Tu che a me sei l'unica) 특징: 나비 부인과 핀커튼의 듀엣 아리아 극에서의 역할: 1막에서 핀커튼과 나비 부인이 사랑을 확인하는 장면에서 부르는 아리아
7. "얼굴을 숨겨요" (Cio-Cio-San) 특징: 나비 부인의 슬픔과 절망을 표현하는 아리아 극에서의 역할: 3막에서 핀커튼과 그의 아내 케이트가 나타나자 나비 부인이 아들을 데리고 떠나는 장면에서 부르는 아리아
8. "밤의 정적" (Addio, fiorito asil) 특징: 핀커튼의 후회와 슬픔을 표현하는 아리아 극에서의 역할: 3막에서 나비 부인의 죽음을 알게 된 핀커튼이 후회하며 부르는 아리아
5. 관람 포인트
✅ 오페라 '나비 부인'은 19세기 말 일본 나가사키를 배경으로 합니다. 당시 일본은 서양 열강의 침략으로 인해 사회적, 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었습니다. 작품 배경에 대한 이해는 오페라 속 인물들의 행동과 감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오페라 '나비 부인'은 아름다운 음악과 감동적인 스토리로 사랑받는 작품입니다. 오페라를 처음 관람하는 사람들에게도 추천할 만합니다. 관람 전에 작품 배경과 주요 등장인물에 대해 조금 알아보면 더욱 즐겁게 관람할 수 있을 것입니다.
2024.02.01 - [분류 전체보기] - 오페라 마술피리 배경 등장인물 줄거리 및 음악
오페라 마술피리 배경 등장인물 줄거리 및 음악
1. 오페라 마술피리 배경 📌 오페라 는 모차르트가 1791년에 작곡한 2막짜리 독일어 징슈필 오페라입니다. 이 작품은 프리메이슨의 비밀 의식과 상징을 담고 있고, 환상적이고 유머러스한 이야기
2.greenwavesite.com
2024.02.01 - [분류 전체보기] - 오페라 사랑의 묘약 배경 등장인물 줄거리 음악
오페라 사랑의 묘약 배경 등장인물 줄거리 음악
1. 오페라 사랑의 묘약 배경 ✅ 오페라 은 1832년에 가에타노 도니제티가 작곡한 2막짜리 희가극 오페라입니다. 이 작품은 단 2주일만에 썼다고 합니다. 원작은 1796년에 프랑스의 드라마 작가 레오
2.greenwavesite.com